이직확인서 작성방법 정답은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고 세상이 변화는 속도가 빨라지다보니 과거에 있던 직업이 사라지기도 하고 없던 직업이 생겨나기도 합니다. 이런 탓에 이제 평생직장이란 말은 과거의 유물이 되었습니다. 직장인에게 이직은 나를 더욱 성장시켜줄 새로운 기회가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때 필요한 이직확인서에 대해 모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 또한 조금 낯선 이직확인서를 요구받았을 때 어떻게 작성해야할지 몰랐기에 이직확인서 작성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이직확인서란?

 

 

이직확인서가 중요한 이유는 이 서류가 실업급여 수급자격 판단을 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되기 때문입니다. 고용보험 가입기간, 이직한 사유 및 이직 전에 지급한 임금, 퇴직금 등의 내용이 서류로서 증명되는 것입니다.

 

작성방법

 

 

이직확인서 작성방법을 알기 위해서는 과거에는 고용보험 사이트에 접속해야 했지만 올해 초부터 고용 산재보험 포털 서비스에서 이를 처리하게 되었습니다.

 

 

사이트 접속을 해야 하는데, 주의할 것은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하시라는 것입니다. 크롬은 보안프로그램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습니다.

 

 

우선 로그인을 해야 하는데, 개인 - 일반근로자를 선택한 후 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합니다.

 

 

그리고 개인 - 정보조회 탭을 클릭합니다. 정보조회에서는 고용 산재보험 토탈서비스를 이용해서 각종 보험 정보를 조회 및 출력할 수 있지만 개인정보라서 본인 것만 가능합니다.

 

 

왼쪽 민원 조회 탭에서 민원 조회를 클릭하면 하단의 메뉴들이 보입니다. 보험료 정보조회에서는 개인별 부과고지보험료를 확인할 수 있고 두번째 메뉴에 이직확인서 처리여부 조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직확인서 작성방법이라면 바로 여기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시 프로그램을 몇가지 추가로 설치합니다. 이후 바로 이직확인서가 조회가 되고 인쇄도 가능합니다. 이직일 전 18개월간 보수지급의 기초가 된 날로 근로한 날과 근로하지 않더라도 사업주로부터 보수를 지급받은 유급휴일과 휴업수당을 지급받은 날을 포함한 일수가 피보험 단위기간입니다.

 

작성 요령

 

 

이직확인서 작성방법을 좀 더 살펴보면 피보험자가 이직한 경우 사업주가 근로복지공단에 고용보험 피보험자격상실 신고서를 제출해야 이때 이직확인서를 첨부해야 합니다. 다만 이직하는 자가 아직 이직확인서 발급을 원하지 않느다면 첨부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직확인서는 실업급여의 수급자격 유무 판단에 필수적이므로 이직사유, 피보험단위기간, 임금지급현황 등을 정확히 기재해야 합니다. 거짓으로 적어 이직자가 실업급여를 부정수급하게 될 경우 사업주도 연대 책임이 있습니다.

 

 

 

 

이직확인서를 제출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제출한 경우 고용보험법 제 118조 1항 제2호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됨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신고서식에 피보험자 이직확인서 서류가 있는데, 이 서류 뒷면에 이직확인서 작성방법이 적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직사유

 

 

 

 

이직확인서에 이직사유를 8개의 코드로 구분해놨습니다. 이직사유는 반드시 구체적 사유를 구분코드와 함께 적어야 합니다. 자진퇴사는 개인사정으로 인한 자진퇴사, 사업장 이전, 근로조건 변경, 임금체불 등으로 자진퇴사로 나뉩니다.

 

 

 

 

이 외에 회사 사정과 근로자 귀책사유에 의한 이직이 있는데 이는 폐업도산과 해고, 권고사직, 명예사직을 포함한 경영상 필요 및 회사 불황으로 인원감축에 의한 퇴사, 근로자의 귀책 사유에 의한 징계해고, 권고사직이 그 종류입니다.

 

 

추가로 정년 또는 계약만료, 공사종료 등 기간 만료에 의한 이직, 기타가 있습니다.(고용보험 비적용, 이중 고용)

 

처리기간

 

 

 

이직확인서 작성방법으로 작성을 했다고 하더라도 이에는 처리기간이 존재합니다.

 

 

 

보통 실직한 날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15일까지 처리하게 되어 있습니다. 처리해야 하는 기간이 15일까지이니 그 전에 가서 미리 접수하고 처리를 해야겠습니다.

 

 

오늘은 실업급여를 수령하는데 필수적인 이직확인서 작성방법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많은 직장인들이 이직을 할 때 실업급여를 받아서 조금 더 안정적으로 이직을 준비하길 원합니다. 앞으로 시간이 되는대로 실업급여에 대한 포스팅도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침팬지는 똑똑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튠즈 백업 따라하기  (0) 2020.07.15
복원지점 만들기 안내서  (0) 2020.07.14
퇴직소득세 계산방법 요약집  (0) 2020.07.08
보건증 인터넷출력 가이드  (0) 2020.07.07
종부세 과세대상 달라  (0) 2020.07.06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